위텍인스트루먼트 야마카시 TICTAC TT-500WG 80P 파워 ( setiguy ) 의 티스토리
| ||
위텍인스트루먼트 야마카시 TICTAC TT-500WG 80P (1부) 파워 | ||
* 작성인: "튼튼" (다나와 닉네임) [ 블로그: http://blog.danawa.com/endlessj 이메일: pionjhw7@dreamwiz.com ]
(1부)
ATX 타입으로 500W 파워입니다.
제조사는 (주)위텍인스트루먼트 (http://www.witechit.co.kr/) 이며, 파워 분야는 2010년 12월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모니터와 PC용 케이스를 출시한 회사였습니다.
본 필테는 벤치클럽 주관, (주)위텍인스트루먼트 후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아마도 어떤 강인함, 튼튼함의 이미지를 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필테의 순서는 위와 같습니다.
본 필테를 작성하는 필드테스터는 일반 사용자이며 파워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연구원이나 제품 개발자가 아니기 때문에 필테 내용 중 일부는 오류가 있을 수 있고 필테의 과정과 결론에서는 주관적인 부분이 첨부될 여지가 있음을 감안하시기 바라며 관련된 여러가지 제한과 한계상, 필테를 통하여 본 제품에 대한 모든 것을 보여줄 수도 없으며 제품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 둡니다. (다만, 본 필테를 통하여 제품에 대한 좀 더 추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입니다)
편의상 본 필테는 1부와 2부로 나뉘며 1부에서는 제품의 외형과 제품의 내부만 살펴 보겠습니다. (나머지 부분은 2부에서 다루겠습니다)
순서에 따라서 첫번째 부분인 제품의 외형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도착 직후의 포장된 모습입니다.
제품의 외부 박스의 모습입니다.
박스의 외형.
"80% 효율"이라는 문구가 눈에 띕니다.
박스의 옆면 부분입니다.
박스 밑부분의 내용입니다.
보증기간은 총 5년으로 2년 무상 + 3년 유상 AS를 보증합니다.
다만, 고객지원센터가 용산 부근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대부분의 AS는 택배로 해야 될 것 같네요. 용산에 AS센터가 있다고 하면 서울 인근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경우에, 직접 방문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아쉬운 부분입니다.
개봉하면 내부의 모습은 위와 같으며 내부 박스가 또 있습니다.
내부의 박스 (속 박스)의 모습입니다.
전체 내용물입니다.
위의 박스는 악세사리 박스입니다.
내용물은 위와 같습니다.
파워 케이블과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 나사 등입니다.
사용된 파워 케이블은 위와 같습니다.
"K" 마크가 있는 인증된 제품이 동봉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주 저가의 파워들은 파워 케이블 조차도 인증된 제품이 아닌 저가형을 씁니다.
파워 케이블 하나만으로도 PC 전원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습니다. (위와 같은 인증받은 제품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동봉된 메뉴얼(설명서) 입니다.
단순하지만 기본적인 내용은 모두 담고 있습니다.
제품의 보증서도 들어 있습니다.
보증기간은 무상 2년 + 유상 3년입니다.
설명서 뒷부분.
중요한 부분을 크고 눈에 잘 띄게 적어 놓아 편리합니다.
파워 자체는 위와 같이 포장되어 있습니다.
포장을 벗긴 모습.
여러 각도에서 본 파워의 모습이며 쿨러의 구조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장착시 안쪽에 위치하는 배선쪽 부분에 통풍구가 있는 것은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동작시 내부로 뜨거운 바람을 불어넣을 가능성이 있지 않는가 조심스럽게 추측해 봅니다.
봉인 부분입니다. 제조년월을 표시합니다.
또 다른 봉인 부분입니다.
봉인 부분의 임의 손상/제거시 무상 AS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 커넥터의 구조는 위와 같이 20+4핀이 결합되는 구조입니다.
보조 커넥터(VGA카드용)는 6+2핀과 6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보조 커넥터는 4+4핀 형태입니다.
2개의 라인으로 IDE용 커넥터들이 4개가 있으며 FDD등을 위한 커넥터도 1개가 지원됩니다.
또 다른 2개의 라인으로 S-ATA용 커넥터가 총 4개가 지원됩니다.
참고로 올슬리빙 구조는 아니며, 주 커넥터와 보조 커넥터들만 슬리빙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여러 각도에서 본 DC-OUTPUT 스티커 부분입니다.
스티커의 부착 상태는 매우 양호합니다.
다만, 본 제품의 경우에 액티브PFC 기능이 내장된 제품이며 제조사(또는 수입사)의 주장은 80PLUS 인증을 받지는 않았지만 80% 효율을 보여준다고 하는데 그런 부분이 위 DC-OUTPUT 스티커 내용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반영되어 있지 않는 것은 아쉽습니다.
특히, 정식 모델명에도 없는 위 스티커 상의 "TICTAC TT-500WG 80PLUS"라는 문구는 정식 명칭인 "위텍인스트루먼트 야마카시 TICTAC TT-500WG 80P"와 다르고 마치 "80 PLUS" 인증을 받은 제품인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수정되어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에 등록된 본 제품의 DC-OUTPUT 스티커(아래 참조)와도 다릅니다.
본인이 받은 파워의 DC-OUTPUT 스티커와 위의 제조사에서 제공하여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에 게시된 DC-OUTPUT 스티커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 일으키지 않기 위하여 일부 문구의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제품의 통풍구입니다. 일반적인 벌집 모양의 가장 무난한 구조입니다.
이제, 내부를 살펴 보겠습니다.
내부에서 본 쿨러 부분입니다.
120mm 쿨러가 사용되었습니다.
쿨러의 근접 모습.
기본적인 사양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여러 각도에서 본 내부 전체의 모습입니다.
EMI 필터입니다.
그 부근에 접지가 되어 있습니다.
스위칭 트랜스 회로입니다.
독특한 방열판(히트 싱크)의 구조를 볼 수 있습니다.
총 3개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각도에서...
사용된 주 콘덴서입니다.
420V / 270uF 용량의 105도 제품이 사용되었습니다.
퓨즈 부분입니다.
방열판 한쪽으로는 쇼트 방지용 절연 필름 포장이 되어 있습니다.
액티브PFC 회로 부분입니다.
정류 부분.
패라이트 코어 부분입니다.
12V의 다중 출력 제품입니다.
근접하여 본 모습.
+12v1, +12v2 부분이 보입니다.
출력부의 마감은 위와 같이 깔끔합니다.
다만, PCB와 배선과의 접합 부분의 마감은 평이합니다.
PCB의 외형이 좀 특이합니다.
FR4 PCB를 사용하여 강도 & 내구성이 좋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PCB에 새겨진 "ATX-450APFC-V1.2"라는 문구에 유의하였습니다.
다른 각도에서...
위 문구를 개인적으로 해석해 보면 대략 유추되기를 ATX타입의 파워로 450W의 액티브 PFC 기능을 가진 파워에 기본적으로 사용한다고 해석될 수 있을 듯 합니다.
v1.2 부분은 아마도 처음 제품 개발시 v1.0 으로 시작해서 개선된 PCB 모델인 듯 합니다.
다만, "450"이란 문구가 단지 450W 전용인지 450W 제품부터 그 이상 즉 500W 모델에도 같이 적용되는 PCB 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위 해석도 개인적인 추측입니다.
PCB를 분리하고 난 후의 밑부분의 절연을 위한 투명 필름을 볼 수 있습니다.
표시된 부분은 무게로 인하여 PCB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입니다.
PCB 밑면의 근접 모습 1.
PCB 밑면의 근접 모습 2.
--- 1부 끝, 2부에서 계속...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