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리뷰는 벤치클럽 에서 제공 하는 정보입니다.
서비스 비용은 무료이며 본 서비스를 받고싶은분은
 서비스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네오위키 AnyGate GW1000G

 

* 작성인: "튼튼" (다나와 닉네임)

[ 블로그: http://blog.danawa.com/endlessj

   이메일: pionjhw7@dreamwiz.com ]

 

 

 

안녕하세요? 튼튼입니다.

 

이번에 필드테스트(이하 필테)를 하게 된 제품은 "네오위키 AnyGate GW1000G" 유선 IP 공유기 입니다.

 

본 제품은 네오위키 AnyGate 신제품으로 AnyGate의 많은 제품들 중에서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유선 IP 공유기 입니다.

 

본 필테는 벤치클럽 주관, 네오위키(http://www.anygate.co.kr) 에서 후원해 주셨습니다.

 

          

 

다음은 필테의 순서입니다.

 

순서에 따라서 첫 부분을 소개 합니다.

본 필테는 제조사의 의뢰에 의한 개인적인 사용기로서 사용자는 일반 유저이며 네트워크 관련 연구원이나 전문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세부적으로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주관적인 입장에서 바라본 시각으로 내용을 전개하는 것임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본 필테로 본 제품에 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거나 모든 가능한 테스트를 포함한 것일 수 없다는 점도 미리 말씀드립니다.

 

이제, 제품의 외형부터 시작 합니다.

 

 

제품 도착 후 모습 입니다.

 

잘 포장하여 보내 주셨습니다.

 

 

제품의 박스 외형 입니다.

 

 

기가비트가 지원되는 유선 IP 공유기라는 사실을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1000Mbps 지원 제품 입니다.

 

 

야간 고객 지원 부분은 장점 입니다.

 

 

근접하여...

오전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지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박스 뒷면에는 제품의 사양과 구성물, 기본적인 기능을 알려 줍니다.

 

 

제품의 홈페이지 주소와 연락 가능한 고객지원 전화번호가 적혀 있습니다.

 

 

개봉 하였습니다.

 

 

위에 보이는 내용물이 전부 입니다.

 

 

그리고 필테와 관련하여 위와 같은 별도의 제품 참고용 테스트 자료를 제조사에서 첨부하여 주셨습니다.

 

위 자료에 의하면 제조사에서는 각종 온라인 게임들에서의 이상 유무와 제품 성능 향상을 위하여 특정한 사용자들을 베타 테스터 형식으로 협조를 요청하여 문제점들과 개선점들을 모색하였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본 제품의 동봉된 메뉴얼은 위와 같습니다.

 

 

메뉴얼 한쪽 면 입니다.

 

 

메뉴얼 다른 한쪽 면.

 

근접하여...

일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제품 메뉴얼)

 

(출처: 제품 메뉴얼)

 

 

제품에 사용된 어뎁터 입니다.

 

일부 공유기의 어뎁터 구조는 멀티텝(일명 써지오)과의 연결시 장착이 어려운 타입인 경우가 많았는데, 위에서 보듯이 멀티텝에 연결시 다른 연결 기기들과의 간섭없이 연결이 쉬운 타입으로 바뀌었습니다.

 

 

어뎁터 위에는 동봉된 짧은 랜 케이블(UTP 케이블) 입니다.

 

 

어뎁터의 모습.

 

 

어뎁터에 부착된 사양표 입니다.

 

 

랜 케이블 자체도 일반적인 제품과 비교시 조금 더 독특한 모양 입니다.

 

 

특히, 커넥터 부분이 특이하죠. (근접 모습)

 

 

다른 방향에서... 근접하여...

기가비트 지원 제품으로 판단 됩니다.

 

 

위에 소개한 부품들을 제거하면 위와 같은 박스만 남습니다.

재활용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됩니다.

 

 

이제, 본 IP 공유기 입니다.

 

위와 같은 정전기 방지 비닐팩으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포장 제거 후의 공유기 모습.

 

 

공유기 전면 근접 모습 입니다.

각종 표시 창들이 있습니다. (표시 내용 설명은 위에 언급된 메뉴얼 부분 참고)

 

 

공유기의 뒷면 포트 부분 입니다.

 

 

 

 

 

전반적인 구조나 배치는 깔끔합니다.

 

 

공유기의 옆면 입니다.

 

통풍구도 보입니다.

 

 

다른 쪽의 옆면.

 

 

통풍구들이 잘 보입니다.

 

 

바닥면 전체 입니다.

 

 

바닥면에는 제품에 대한 스티커도 있고, 통풍구가 확실하게 보입니다.

 

 

근접한 스티커 부분.

 

제품의 바코드도 있습니다만, 사진 상에는 잘보이지 않게 편집하여 올렸습니다.

 

 

제품명, 주의점, 제조사 홈페이지, 고객 지원 전화번호 등이 충실히 안내 되어 있습니다.

 

 

바닥면은 고정 부분도 있고 벽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홀 부분도 있습니다.

 

 

벽에 고정도 가능한 구조 입니다.

 

 

 

 

집안의 다른 기기들과도 잘 조화되는 외형이라고 사료됩니다.

 

 

공유기의 내용물 전체와 한 컷.

 

이제, 제품을 가지고 테스트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먼저, 본 제품의 기본 사양 입니다.

 

(출처: 제조사 홈페이지)

 

다음으로 제품 테스트에 사용된 메인PC와 쎄컨드PC의 소개 입니다.

 

 

 

위의 두개의 본체가 필요한 것은 아래에 나오겠지만,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테스트를 위한 것입니다.

 

 

공유기를 연결하고 기본 설정 화면 입니다.

 

웹브라우저를 열고 위의 기본 IP 주소: 192.168.10.1 을 사용하여 접근 가능합니다.

 

 

먼저, 간편 설정의 기본 화면이 되겠습니다.

 

"상태 보기"라는 메뉴로 제품의 기본적인 연결 상태와 외부 IP 주소 등을 보여 줍니다.

 

 

아래 메뉴는 "자동 설정"으로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를 보여 줍니다.

 

 

다음으로 "수동 설정" 메뉴에서 연결 방식과 MAC 주소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경우에는 별도로 수동 설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제, 아래 "전문가 설정" 부분의 메뉴 첫번째는 "IP 설정"으로 "인터넷 연결 설정"이 가능한 부분 입니다.

 

"전문가 설정" 부분은 원만한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으며 좀 더 고급스러운 설정이나 개인적인 필요에 의한 제품의 고급 기능들을 맛보려할 경우에 필요한 설정들을 담아 두었습니다.

 

 

다음 "트래픽 제어" 부분의 메뉴가 있으며, 위와 같은 기능들이 기본 지원 됩니다.

 

위에서 보이는 많은 기능들이 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아래 기능이 마음에 듭니다.

 

 

"QOS"라고 불리는 기능인데요.

 

특정한 사용자나 프로그램, 포트에 대해서 정해진 속도를 보장하거나 제한을 둘 수 있는 기능입니다.

 

어느 하나의 PC에서 P2P를 통하여 많은 다운로드를 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인터넷 속도가 느려지는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에 대하여 제한을 걸어 같은 공유기와 연결된 다른 PC 사용자가 속도의 영향을 심하게 받지 않도록 도와 줍니다.

 

 

"전문가 설정" 부분의 세번째 부분은 "보안 설정" 입니다.

 

보안 규칙, 방화벽, 응용 프로그램 차단, URL 차단, 외부 접속 차단 등의 고급 기능이 이 메뉴에서 지원 됩니다.

 

 

그 다음으로 "부가 기능" 부분 입니다.

 

 

다음 "관리자" 메뉴 부분 입니다.

 

공유기의 모드, 비밀번호 설정,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메뉴로 "상태 정보" 부분 입니다.

 

"세부 상태 정보" 메뉴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와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제, 인터넷과 관련된 기본적인 속도 측정을 해 보겠습니다.

 

 

측정을 위한 사이트는 벤치비(http://www.benchbee.co.kr/)를 선택했습니다.

 

 

먼저, Realtek 8139 칩셋을 사용한 PCI 방식의 랜카드와 연결하여 측정한 것입니다.

사용된 IP공유기는 본 제품이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디링크 DI-524 유무선IP공유기" 입니다. 디링크 제품은 기가비트를 지원하지 않는 모델 입니다.

 

 

상세 결과 도표 입니다.

 

다음으로 환경을 조금 바꿔서 위 디링크 제품과 Realtek Gigabit 랜카드의 조합에서의 측정 결과 입니다.

 

 

역시, 기가비트 랜카드를 사용하니 속도가 많이 향상되어 있습니다.

 

 

상세한 도표 입니다.

 

다음으로 본 제품과 Realtek Gigabit 랜카드와의 조합 구성으로 테스트 합니다.

 

 

조금 더 측정 결과값이 향상되었습니다.

 

 

자세한 결과표 입니다.

 

본인이 사용하는 인터넷 회선이 한국통신의 FTTH로 100M 지원 제품이므로 기가비트 IP 공유기라도 비약적으로 속도가 향상될 수는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만, 동일 환경에서도 일반 100M 지원 IP 공유기보다는 약간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기는 합니다.

 

이제, 2개의 PC 간의 네트워크 속도를 측정해 봤습니다.

 

이 측정을 위하여 Realtek 8139 칩셋을 사용한 100M 지원 보급형 랜카드 2개와 기가비트 지원 랜 케이블(UTP 케이블), 그리고 기가비트 랜카드를 사용하였습니다.

 

 

위와 같이 환경을 임의 설정하여 기가비트 연결 상태로도 테스트 했습니다.

 

 

2대의 PC간의 네트워크로 복사할 준비된 데이터는 대용량의 파일들로 구성된 10GB의 용량이 되겠습니다.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측정해 봤습니다.

 

   

 

먼저, 100M 지원 랜카드 연결 상태로 측정된 소요 시간 입니다.

 

   

 

다음으로, 기가비트 연결 상태로 측정된 시간 입니다.

 

 

위 결과를 도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위 데이터는 절대치나 절대값은 아닙니다만, 대략적으로 여러번 측정하여도 위 값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겁니다.

 

위 결과값은 테스트 환경이나 테스트 PC 등의 주변 기기와 환경 상의 영향에 따라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소지는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비교하여 보면, 일반적인 네트워크 상의 속도에 비하여 기가비트가 지원되는 환경에서는 약 4배 정도의 속도 향상을 볼 수 있습니다.

 

즉, 네트워크 상에서 4분 정도에 이동할 수 있는 데이터의 용량이 기가비트 환경에서는 1분에 끝낼 수 있는 속도 입니다.

 

 

소모 전력도 측정해 봤습니다.

 

 

여러번 측정해 봤습니다만, 3.7W 가 나오네요.

 

물론, 본 IP 공유기가 동작 중에 사용하는 전력 입니다.

 

이제, 마칠 부분 입니다.

먼저, 장점 부분 부터 진행해 봅니다.

 

 

. 기가비트 유선 IP 공유기 (모든 포트가 기가비트 지원됨)

. 설정 메뉴의 한글 지원과 잘 정리된 간편한 메뉴 구성

. 멀티탭과의 연결이 쉬운 어뎁터 구조

. 주변 기기와 잘 어울리는 외형

 

 

. 기가비트 공유기이므로 연결 가능한 기본 포트가 4개가 아닌 5개였으면 어떨까 싶음

(좀 더 사용자를 배려한 구조)

. AnyGate의 특징이었던 "INT" LED가 없음 (이 부분은 AnyGate측의 해명이 있었는데요. 불필요하게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로 부터의 AS 요청이 많았다고 합니다. - 실제는 연결 조작 실수나 사용자의 다른 설정상의 문제였음)

. 좀 더 저렴해지기를 원함 (아직은 기가비트 지원 제품이 상대적으로 비싼 편)

. 무상 AS 기간을 2년 정도로 늘려주었으면 함

제품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제품 이미지와 부가적인 설명 몇가지로 본 필테를 마치겠습니다.

 

(출처: 제조사 홈페이지 이미지)

 

(출처: 제조사 홈페이지 이미지)

 

(출처: 제조사 홈페이지 이미지)

 

제조사의 홈페이지에는 메뉴얼이 제공됩니다만, 본 필테를 작성하는 시점에서 본 제품에 대한 메뉴얼은 없었습니다. 향후 빠른 시일 내에 제공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출처: 제조사 홈페이지 이미지)

 

홈페이지에서 최신 펌웨어도 위와 같이 다운로드가 가능하였습니다.

 

(출처: 제조사 홈페이지 이미지)

 

 최신 펌웨어는 2009년 12월1일자였습니다.(본 제품 필테 작성 시점)

 

 

그냥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구성해 봤습니다.

 

 

 

이상으로 본 필테를 마칩니다.

 

부족하지만, 끝까지 봐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WRITTEN BY
찌찌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