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dts_audio ■ 2000년 10월 소니 DVR 블루(블루레이 전신) 공개 ■ 2002년 2월 BDA(Blu-ray Disc Association) 설립(9개사 참여) ■ 2002년 8월 도시바·NEC AOD(Advanced Optical Disc, HD DVD 전신) 발표 ■ 2003년 4월 소니 최초 블루레이레코더('BDZ-S77') 발매 ■ 2005년 8월 블루레이-HD DVD 포맷통일 협상 실패 ■ 2006년 3월 도시바 최초 HD DVD플레이어 발매 ■ 2006년 4월 워너브라더스 최초 HD DVD 타이틀 발매 ■ 2006년 6월 삼성전자 블루레이플레이어('BD-P1000') 세계 최초 발매 ■ 2006년 6월 소니픽처스 최초 블루레이 타이틀 발매 ■ 2007년 1월 LG전자 세계 최초 블루레이-HD DVD 동시지원 듀얼플레이어 공개 ■ 2007년 12월 삼성전자 블루레이 홈시어터('HT-BD2') 세계 최초 출시 ■ 2008년 1월 워너브라더스 블루레이 단독지원 발표 ■ 2008년 2월 도시바 HD DVD 사업 포기선언 소니가 주축이 된 Blue-Ray(이하 블루레이)와 도시바가 선도한 HD-DVD로 양분된 차세대 미디어 표준 경쟁이 드디어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과거 비디오 카세트 포맷을 놓고 벌인 VHS와 Betamax간 기술표준 전쟁처럼 한치의 양보 없이 당분간 계속될 줄 알았으나 2008년 1월 세계 최대 DVD 판매량을 자랑하는 워너브라더스가 블루레이로만 타이틀을 제작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무게추 중심은 블루레이로 급속하게 쏠리기 시작해 지난 2월 일본 도시바가 HD-DVD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블루레이 시장의 활성화 원년이 시작된 것이다. 이에 하드웨어 메이커 사들도 차세대 블루레이 시장성 클 것으로 내다보며 신제품 출시가 계속될 것이라 한다. 광학 시장을 리드해온 LG는 최근 GGW-H20L 모델을 출시하였다. Super Multi Blue Blu-ray Disc Rewriter & HD DVD-ROM Drive GGW-H20L 블루레이 레코더는 블루레이(기록 가능)와 HD-DVD 재생을 모두 지원하고 모든 DVD 기록 방식을 지원하고 라이트 스크라이브 인쇄 기능도 지원하는 레코더다. 최근 지인들로부터 미디어로 데이터를 백업하느니 하드디스크를 구입해 백업하는 것이 투자되는 시간과 관리하기에도 좋다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하드디스크는 점점 고용량화되어 테라바이트까지 진입한 상황이고 USB 이동식 메모리 디스크 크기도 8GB 이상 계속 저장 공간이 올라가는 있지만 싱글레이어 미디어 정규 배속은 16배속으로 중단된 마당에 하드웨어는 22배속까지 나온 상황이니 듀얼레이어 미디어가 가격이 많이 내려갔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피부로 느끼기엔 여전히 비싸다는 문제가 있어 블루레이로 백업한다는 얘기를 하면 돈지랄(!)이란 소리를 들을 수 있겠단 생각도 들었다. 용량이 큰 하드디스크는 사용자만의 특별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해 관리할 수 있고 만약 멀티미디어 파일을 취급한다면 AV 기기와 연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을 테고 반면 공미디어만의 매력도 하드디스크 못지않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본문에서 LG GGW-H20L의 기본 정보를 간단하게 살펴보고 블루레이 드라이브와 잘 어울리는 나만의 조합을 소개함과 동시에 고용량 데이터 백업 과정 등 LG 슈퍼멀티블루의 활용 방안 위주로 소개하도록 하겠다. ▒ 기능 및 특징 ▒
- 세계 유일의 Blu-ray / HD-DVD 재생 지원 - 데스크탑용 Blu-ray 기록 지원 드라이브 - 세계 최고 배속(6배속) 블루레이 기록 속도 - 버퍼 메모리 2MB - 버퍼 언더런 방지 기술 - 디스크 표면인쇄(Light scribe)지원 - 수직/수평 설치 가능 - RoHS/ 무납 성분 - S-ATA 인터페이스 방식
▒ 제품 사양 ▒
<LG ODD 홈페이지 발췌>
▲ 제품 구성물 패키지는 GGW-H20L, 사용설명서, 제품 보증서, SATA 데이터 케이블, SATA 전원 케이블, BD-RE 싱글 레이어 공미디어, 설치CD, 고정 나사 4개로 이루어져 있다. BD-RE SL 공미디어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어 설치 후 바로 레코딩 테스트를 할 수 있다.
LG 레코더라면 흔히 생각할 수 있는 트레이 부분을 보니 기존 DVD 레코더와 다르게 변화가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가로 방향으로 라인이 전체적으로 생겼고 트레이 버튼 부 라인을 회색으로 처리해 슬림한 느낌을 전해준다.트레이 버튼부도 기존보다 세련되보이고 LG 로고를 중심으로 슈퍼 멀티, 붉은 바탕의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멀리서 봐도 LG 제품임을 알 수 있고 블루레이 디스크와 HD-DVD ROM 로고가 우측에 표시되어 있다. GGW-H20L은 라이트 스크라이브 인쇄 기능이 지원되는 모델인데 베젤에 관련 로고가 없다는 점은 의아하다. ▲ 트레이 버튼부 ▲ LED 표시 등(푸른 색) ▲ 비상 구멍(코팅막으로 덮여 있슴) ▲ 베젤 전면의 코팅막을 제거하고 LG 고객센터 스티커를 제거하면 드러나는 베젤부의 모습. LG 고객센터 부근에 라이트 스크라이브 로고가 들어가면 적절할 것 같다. ▲ LG GH-20과 전면 베젤 비교 ▲ 최근의 레코더에 비해 LG GGW-H20L의 본체 길이가 더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건 약간 아쉬다는... ▲ SATA 인터페이스 채택은 당연히 기본! ▲ LG GGW-H20L 상단 / 하단 ▲ 정식 모델명은 LG GGW-H20L이고 롬 버전은 YL02. 테스트 기간에 새로운 펌웨어가 새로 등록이 되었다. 베젤처럼 트레이 색상도 블랙이라 난반사를 줄여주며 먼지가 붙어 있어도 제거하기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고 디스크가 고배속으로 회전 시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잡아주는 후크로 수평, 수직 장착 시 기능을 발휘한다고 할 수 있으며 벨트 방식이라 트레이를 여닫을 때 조용하다. ▲ SAMSUNG PAVV LN32R71BDA FULL HD 티비면 얼마나 좋겠는가? 이미 HD급 티비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FULL HD로 바로 갈아타기엔 사실 그렇게 쉽지가 않다. 흔히 표현하는 뽕을 뽑을 수 있을 정도는 돼야 갈아타지 않을까 생각한다. 비록 HD급이지만 HDMI, 컴퍼넌트 단자가 지원되니 PS3, XBOX360의 콘솔 기기와 연결도 가능하니 나쁘지는 않다. ▲ INTEL CORE 2 DUO E8400 최근의 화두는 인텔의 차세대 모바일 프로세서인 펜린(Penryn)일 것이다. 인텔 최초의 코어 마이크로 아키텍쳐 기반 45나노미터(nm) 공정으로 3D, 고해상도 작업 등에서 평균 20~30% 작업 시간이 향상됐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진 점이 기존 프로세서보다 진일보한 점이다. ▲ SAMSUNG HD501LJ 500GB 필자의 케이스 안엔 제조사 별로 하드디스크가 있다. 최근에 하드디스크를 구입한다면 삼송만 찾게 되는데, 이유는 의외로 간단하다. 집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삼성 서비스센터가 있기 때문! 점점 고용량화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루려면 이제 500GB 하드디스크는 대세이지 않을까? ▲ BenQ G2400W TN 패널이라 시야각은 좋지 못하지만 보급형 FULL HD 모니터로 HDMI단자가 있어 그럭적럭 괜찮다. ▲ TSST SH-183A + LITE-ON LH-20A1H + LG GH-22LP20 + COOL DRIVE 6 + AZA-9000 CASE 비싼 블루레이 레코더를 매번 태우기가 좀 거시기해서 서포트해줄 3대의 ODD 지원군을 붙여놨다. LITE-ON LH-20A1H은 품질 테스트 전용, TSST SH-183A, LG GH-22LP20은 기록과 리핑 전용으로 GGW-H20L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 SONY PLAYSTATION 3 현 시점에서 블루레이 미디어를 재생시킬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제품이 SONY PS3인 것 같다. 경쟁 기종보다 즐길만한 게임 타이틀이 부족하지만 최근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디빅 영상 파일도 재생이 되기 때문에 당분간 인기 상한가를 달리리라 생각된다. ▲ WEMATE MT-2000 D&A 제품이 출시되자마자 구입했던 위메이트사의 앰프 내장형 5.1채널 스피커로 디지털과 아날로그 입력을 동시에 지원한다. 아파트에 살고 있어 일정 볼륨 이상을 올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따로 앰프를 구하지 않고 그냥 속편하게 쓰고 있다. 우퍼 성능이 떨어지는 점이 옥의 티! 기본 펌웨어 버전은 YL01이었지만 LG ODD 자동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YL03으로 업데이트를 마쳤다. LG홈페이지에서 배포된 버퍼 크기는 4MB지만 확인 결과 2MB였다. BD-ROM/BD-R/BD-RE/HD DVD-ROM을 지원하고LightScribe 인쇄도 지원함을 알 수 있다. 테스트용 BD-RE 미디어를 1개 제공하고 있다. 재 기록이 가능하며 최대 2배속 기록이 가능하고 25GB 용량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실 기록은 이보다 조금 못 미친다. DVD처럼 계산 방식에 의한 차이일 뿐이다. 참고로, 2배속으로 기록해도 기록 완료 시간은 최소 1시간 이상이 걸린다. Nero사의 레코딩 프로그램이 없다고 아쉬워할 필요는 없다. DVD/HD-DVD/BLU-RAY 영화 감상을 할 수 있는 대중적인 PowerDVD v7.3 Ultra, 고해상도 비디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PowerProducer, 데이터 백업이나 음악 시디를 만들 수 있는 Power2Go, 디스크 포맷하기, 디스크에 쓰기, 디스크 지우기 등을 할 수 있는 Instant Burn, 하드 드라이브 백업과 복원을 할 수 있는 Power Backup, 사용자 PC가 블루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되는지 검사할 수 있는 BD Adivsor을 지원하니 부족함은 느끼질 못했다. 본격적으로 블루레이 미디어로 기록해볼 차례가 왔다. Power2Go를 실행하여 디스크 유형을 블루레이 디스크로 선택하면 된다. 만약 네로 8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면 굳이 Power2Go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니 참고하길 바란다. 블루레이 싱글레이어 용량인 25GB로 꽉꽉 눌러 담아서 기록한다면 퇴짜를 맞으니 빨간 그래프 안쪽으로 용량을 줄여주자.
기록 가능한 최대 용량에 버금가도록 데이터를 맞추는 것도 일이었다. 이제 LG GGW-H20L를 선택하고 Go! 1시간이 넘어설거라고 예측을 했기에 1시간 30분 19초의 시간은 덤덤히 받아들였다. 이 정도의 시간이면 영화 하나를 충분히 볼 수 있는 시간이니 레코딩 전에 재생 플레이어를 실행해 파일을 불러들이고 일시 정지 시키고 레코딩 시작과 동시에 영화를 감상하면 1시간 30분의 시간을 무료하게 보내지는 않을 것이다.
무사히 잘 기록된 미디어가 제대로 재생되는지 테스트를 해봐야 하지 않을까? PC 쪽은 건너 띄고 바로 PS3에 방금 기록한 BD-RE 미디어를 구동시켜봤다.
인식하는데 오래 걸리지도 않았다. 소음도 그다지 느껴지지 않았고 데이터 디스크로 인식을 한다. 필자는 DVD를 구입할 때 코멘터리가 들어가 있는지 꼭 확인을 한다. 본편 영화와는 다르게 감독의 생각을 알 수 있어서 국외 영화나 국내 영화 모두 코멘터리가 있다면 없는 시간을 내서라도 보는 편이다. 첫 블루레이 작업을 코멘터리가 포함된 영화를 우선으로 하였고 남는 자투리 공간엔 무료함을 달래줄 영화들도 포함했다. PS3 기기 자체가 소음 면에서는 경쟁 기종보다 탁월해 재생하면서 렌즈 깎아 먹는 소리도 안 들리고 대만족이다. 블루레이 미디어만 사용하다간 미디어에 투자하는 가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LG GGW-H20L은 라이트스크라이브 인쇄 기능도 지원되니 한지붕 식구인 LG GH-22LP20과 같은 미디어, 같은 이미지, 같은 인쇄 옵션으로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다. 테스트에 사용된 라이트스크라이브 미디어는 Imation으로 여전히 미디어 가격이 비싸서 개인적으로 불만이다. 라이트스크라이브 인쇄 방법은 일단 데이터를 기록하고 미디어를 뒤집어서 기록하면 끝. 두 장의 미디어를 똑같은 소스를 가지고 인쇄한 결과로 언뜻 보면 밝기 차이가 나보일 수도 있겠지만, 필자 사진 찍기의 내공 부족이다. 그냥 똑같다고 보면 된다. 왼쪽에서 햇빛이 비추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일 뿐이다. 아 이번에도 빛이 들어가 버렸다. 사진이 바래 보이지만 이것도 햇빛 때문~ ㅡㅡ; 일정 부분을 크롭해서 봤을 때는 큰 차이를 느끼지 못했다. 보통 책 읽는 거리를 두고 두 미디어를 비교해보면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했다. 이번에는 100% 크롭을 한 모습이다. 이쯤 되면 차이가 느껴질 것이다. 상단 이미지는 GH-22LP20이고 아래 이미지가 GGW-H20L로 인쇄한 것으로 GH-20LP20이 아주 촘촘하게 인쇄된 반면 GGW-H20L은 잉크젯 프린터로 출력 시 색상 하나가 빠져 줄이 간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그냥 보면 차이를 구분하지 못할 정도니 라이트스크라이브 인쇄 능력이 떨어져서 불만인 사용자는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경쟁사 ODD보다 인쇄 품질은 좋으니 안심하시길~ 미디어 기록 품질이 좋으니 프린터블 미디어와 연계해서 꾸며도 좋을 것이다. 테스트 시 DVD-R과 DVD+R DL 미디어 타입만 기록했는데 기록 품질이 상당히 뛰어나니 미디어 호환성 걱정은 안 해도 될 것 같다. ▲ 미쯔비시 DVD-R 8X ▲ 미쯔비시 DVD+R DL 8X 바로 전에 기록 품질이 좋다고 말했는데 보는 것처럼 그 품질이 상당히 좋다. DVD-R 미디어임을 고려하면 매우 좋은 기록 품질이고 더블 레이어의 경우 레이어 변속 구간인 2번째 레이어부터 대개 수치가 올라가는 편이지만 보는 것처럼 그런 패턴도 없다. 물론 이런 품질을 얻으려면 좋은 미디어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미쯔비시, 버바팀, 다이오유덴의 이름값에 걸맞은 기록 품질을 보여주니 주력 레코더로 써도 될 정도지만 가격이 나가는 만큼 애지중지 사용해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먼저 든다.
90년대 스카시 방식의 레코더가 선보인 이래 ODD 분야의 발전이 이제는 블루레이 레코더가 출시되는 지점에 이르렀다. 당시 스카시 카드를 먼저 구입해 놓고 나중에야 야마하 레코더를 손에 넣었을 때의 감흥은 오랜 세월이 지났지만 잊을 수 없었다. 세대와 미디어 포맷을 넘어 블루레이 레코더를 사용해본 소감은 당시의 감흥을 넘기엔 부족했다. 아마도 당시와 달리 백업을 할 수 있는 장치가 ODD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런 점이 많이 작용을 했지만 한 번에 20기가 이상을 백업할 수 있다는 사실은 사실 즐거운 체험이었다. LG는 차세대 고화질 디스크 시장을 선점하려는 발걸음이 빨라지는 것 같다. ATAPI 방식 내장형 블루레이 레코더 이후 S-ATA 방식을 채택한 GGW-H20L은 최대 6배속 기록이 가능한 제품이다. 듀얼레이어 블루레이 미디어 제품은 5만~6만원대에서 살 수 있고 싱글레이어 BD-R 가격도 최소 만 5천 원 이상 나가며 저가형은 만 원으로 구입할 수 있다. 아마 여기서 하드디스크와 가격 비교를 해보는 사용자들도 분명히 있겠지만 공미디어와 HDD는 태생적 한계가 있고 각자 일장일단이 있으니 똑같이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한다. 사실 공디비디하면 싱글레이어가 전부라고 아는 사용자가 대부분이고 듀얼레이어(DVD+R DL) 미디어를 모르는 사용자도 대부분인데 블루레이 미디어까지 소개하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생각해보니 자못 궁금하다. GGW-H20L은 2008년 5월 현재 30만 원대 초반이면 살 수 있다. 본체 가격이네? 너무 비싸잖아? 이런 반응이 나오리라 예상되지만, 성능 좋은 그래픽 카드도 아시다시피 가격이 상당한 편임을 잊지 말자. 게임 때문에 출혈을 감수하고서라도 그래픽 카드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ODD에 관심이 많아 브랜드별로 하나씩 사거나 멀티 레코딩을 즐기는 사용자들도 있다. 필자는 블루레이 레코더가 출시되면서 가격이 공개되고 나는 언제쯤이면 저걸 써볼 수 있을까 생각했지만 2008년 2사분기에 드디어 사용해볼 수 있게 되었다. 올해 안으로 가격이 얼마나 하락할지 모르겠지만, 가격 보상이나 출시 이벤트 등으로 10만 원대의 블루레이 레코더라면 많은 사용자가 접해볼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광학 시장에서 잔뼈가 굵은 LG 레코더인만큼 기록 품질과 성능은 당연히 보장하니 가격이 내려가는 그때까지 어떻게든 참고 기다려보자. 필자가 올 한해 세운 계획 하나는 스타트렉 TV 시리즈를 블루레이 미디어로 백업하고 컬러 출력까지 완벽하게 해 진열장에 꼽아놓고 흐뭇하게 보고 있는 내 모습을 상상하는 것이다. 남들보다 먼저 블루레이 레코더를 사용하고 있으니 기회가 된다면 사용기를 통해 다시 만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ㅁ‥‥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게이트 SG801 8포트 기가비트 스위칭 허브 (0) | 2008.05.30 |
---|---|
사랑받고 싶다면 선물하자. DigiFi Opera S1 무선 이어폰 (0) | 2008.05.25 |
HP Pavilion DV3018TX 성능 & 활용편 (2) (0) | 2008.05.18 |
HP Pavilion DV3018TX 성능 & 활용편 (1) (0) | 2008.05.18 |
로이체 Red Eye X RX-7600K (0) | 2008.05.18 |
시선을 사로 잡는다 HP 파빌리온(Pavilion) DV3018TX - 디자인 (0) | 2008.05.09 |
간편하게 요리할 수 있는 Micro Grill (0) | 2008.04.30 |
[NV Life] Chapter 6. 멀티미디어 - 음악 (0) | 2008.04.28 |
[NV Life] Chapter 5. 업데이트(TPEG 인증) (0) | 2008.04.28 |
[NV Life] Chapter 4. 환경설정 (0) | 2008.04.28 |
WRITTEN BY